제9대 소장 홍종찬 박사 취임
제8대 소장 임채오 박사 취임
The 7th MU-GNU Joint Symposium on Agrobiotechnology 개최
2019년 1st 경상대학교-청도농업대학교 생명공학 공동심포지엄 개최
The-2nd-Vietnam-Korea-Joint-Symposium-on-Biotechnology 개최
제7대 소장 홍종찬 박사 연임
2017 GNU-POSTEC Plant Joint Symposium 개최
2017 제7회 GNU 농생명공학 국제심포지움 개최
2015 경상대-미주리대 식물생명공학 국제공동 심포지움 개최
제6대 소장 홍종찬 박사 취임
식물생명공학연구소(PMBBRC)와 젬버대학 선진과학기술개발연구소(CDAST) 간의 협정 체결
제5대 소장 정영륜 박사 취임
경상대 미주리대간 정례적 biennial 심포지움 개최
식물생명공학연구소로 명칭 변경
제10회 한국-독일 식물생명공학 심포지움 개최(경상대에서 개최, 독일측 연사 14명, 한국측 연사 14명)
제4대 소장 윤대진 박사 취임
제9차 한ㆍ독 식물생명공학 심포지엄 개최(독일측 연사:21명, 한국측 연사:11명)
제8차 한ㆍ독 식물생명공학 심포지엄 개최(독일측 연사:16명, 한국측 연사:13명)
김선원교수 연구소 전임교수 발령 (자연대 → PMBBRC)
연구소 전임교수 신규임용 (조교수 : 이균오)
제3대 소장 한창덕 박사 취임
연구소 전임교수 신규임용 (조교수 : 전체옥)
제7차 한ㆍ독 식물생명공학 심포지움을 독일 Max-Planck-koln에서 공동개최(독일측연사 : 13명, 한국측연사 : 8명)
연구소 전임교수 1명 임용 (조교수 : 김재연, 총7명)
제2대 강규명 소장 취임
연구소 전임교수 1명 임용 (조교수 : 정우식)
연구소 전임교수 1명 임용 (조교수 : 이곤호)
한국과학재단 우수연구센터 후속지원(연구비3억 배정)
한국과학재단 우수연구센터(SRC) 종료
제4차 한·독 식물생명공학 심포지움 개최(독일측 연사8명, 한국측 연사 13명)
Workshop 개최(AKTA fplc/explorer system에 의한 단백질 분리정제)
한국식물학회 및 일본식물학회와 공동으로 "Frontier Research in Plant Biotechnology"라는 주제로 국제심포지움 개최
"21세기를 향한 생명과학의 전망"이란 주제로 한국분자생물학회와 공동으로 국제심포지움 개최(국외연사 3명, 국내연사 3명)
조무제 소장 미국 Ohio 주립대학 방문 및 국제공동연구추진 협의
'98년도 연구비 7억5천 배정
교육부로부터 연구소 전임교수 T/O 3명 배정 및 임용(조교수: 임채오, 윤대진, 김경규)
한국과학재단으로부터 고가첨단연구장비 지원 결정(X-Ray Diffraction Image Processor System : 2억6천2백)
병역특례연구원 1명 임용(계10명)
'97년도 연구비 8억6천8백 배정
가능성 협의
조무제 소장 핀란드 및 스웨덴 생물공학연구소를 방문하여 공동연구 수행
미국 Scripps 연구소 현지 연구실 연구원 파견(임채오:Post-doc.)
조무제 소장 이스라엘 Weisman 연구소를 방문하여 공동연구추진 협의
제4차 식물분자생물학 국제심포지움 개최(미국 3명, 중국 1명, 일본 1명, 한국 17명 주제 발표)
Workshop 개최(SPR의 원리를 이용한 Real Time Biomolecular interaction analysis인 BIAcore)
이·공계 대학연구소 기자재 첨단화 지원금 수혜 연구소로 선정('96년부터 '98년까지 3년간에 걸쳐 2억원씩 지원)
제3차 한·독 식물생명공학 심포지움을 독일 Max-Planck-Koln에서 공동개최(독일측 연사: 12명, 한국측 연사 9명)
제10차 식물생명공학 심포지움을 식물학회와 공동으로 KIST 생명 공학연구소에서 개최(국내:9명, 국외:2명 주제발표)
병역특례연구원 1명 임용(계9명)
'96년도 연구비 7억9천배정
생명과학연구동 개관식(1,200평 규모)
병역특례연구원 1명 임용(계9명)
우수연구센터 6년차 2차 평가실시
교육부로부터 연구소 전임교수 T/O 1명 배정 및 임용(조교수 : 한창덕)
PMBBRC 독립건물 부분 준공 및 이전
미국 Scripps 연구소에 PMBBRC 현지연구실 현판식 거행
미국 Scripps 연구소와 상호협력연구를 위한 협력각서 교환
LG 생명공학연구소와 상호협력연구를 위한 협력각서 교환
'95년도 연구비 7억 9천만원 배정
제9차 식물생명공학 심포지움을 한국식물학회, 한국분자생물학회 공동으로 주관 개최
조무제 소장 러시아 모스코바 대학 및 Shemyakin 연구소 방문 및 상호교류 합의
제8차 Workshop 개최(Subtractive cDNA library 구축)
제2차 한·독 식물생명공학 공동심포지움을 독일 막스프랑크 식물육종연구소와 공동 개최 (독일측 연사:8명, 한국측 연사:10명)
제6차 PMBBRC 학술발표대회 개최
캐나다과학재단지저센터인 PENCE 연구센터 방문 및 상호교류 합의
조무제 소장 미국과학재단지정 STC인 UC-Davis의 CEPRAP 연구 센터
병역특례연구원 2명 임용(계 8명)
제7회 Workshop 개최(Cryostat microtome의 사용법과 응용성)
'94년도 연구비 7억 6천만원 배정
제4차 PMBBRC 학술 발표대회 개최
조무제 소장 일본 Mitsubishi-Casei 생명공학연구소 및 Plantech Research Institute 방문 및 상호교류 합의
교육부로부터 연구소 전임교수 T/O 2명 배정 및 임용(조교수:황인환, 전임강사:손대영)
제6회 Workshop 개최(Automatic DNA sequencing)
세대단축온실 준공(대학지원:40평 규모)
제3차 PMBBRC 학술 발표대회 개최
'93년도 연구비 7억 2천만원 배정
병역특례연구원 2명 임용(계 6명)
조무제 소장 독일 Max-Planck 식물육종연구소(Koln), 영국 John Innes 연구소 문 및 상호교류 합의
1차 3개년간 연구실적 및 업적평가에서 최우수 연구센터(A급)로 평가 받음
제2차 PMBBRC 학술 발표대회 개최
제1차 한·독 식물생명공학 공동심포지움을 독일 막스프랑크 식물육종연구
소와 공동 주관으로 개최(독일측 연사:9명, 한국측 연사:12명)
제5회 Workshop 개최(RAPD에 의한 genome 분석
교육부로부터 연구소 외곽시설(1,500평 규모) 신축허가 1996년 말 완공 예정
병역특례연구원 2명 임용(계 4명)
'92년도 연구비 6억 3백만원 배정
우수연구센터 교육부로부터 법정화
제4회 Workshop 개최(DNA synthesizer 활용)
제3회 Workshop 개최(cDNA library 및 genomic library construction)
제2회 Workshop 개최(Micropeptide sequencer 활용)
제1회 Workshop 개최(Automatic DNA sequencer 활용)
병역특례연구원 2명 임용
'91년도 연구비 7억 2천만원 배정
제1차 PMBBRC 학술 발표대회 개최
병무청으로부터 병역특례연구기관으로 지정
기기구입비 80만불 및 연구비 3억원 배정
식물분자생물학 및 유전자조작연구센터 개소식 및 조무제 박사 초대 소장 취임
한국과학재단으로부터 우수과학연구센터(SRC)로 선정